본문 바로가기
라이프/건강

무릎 구부릴때 통증 의심질환들

by 월억벌자 2023. 4. 24.
반응형

무릎 구부릴 때 통증이 느껴진다면 무릎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빠르게 가까운 통증의학과에 내원하셔서 본인의 무릎 상태를 점검하고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셔야 합니다. 무릎은 우리 몸에서 움직임이 많은 부위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다른 관절에 비해 퇴행 속도 역시 빠른 편입니다. 오래 걷거나 무리해서 운동한 날에는 무릎에 불편감을 느끼는 경험 있을 것입니다. 특히 무릎 구부릴 때 통증이 느껴진다면 무릎 연골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볍게 생각하시면 안 되고 꼭 가까운 통증의학과에 내원하셔서 상담하셔야 합니다. 

 

무릎 구부릴때 통증 의심질환들
무릎 구부릴때 통증

 

무릎 구부릴때 통증 퇴행성 관절염

무릎 관절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뼈인 대퇴골과 경골을 잇는 관절입니다. 이 관절은 체중을 지탱해서 걷거나 뛸 때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해서 그만큼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먼저 무릎을 구부릴 때 통증이 있다면 퇴행성 관절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관절염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표적인 만성 관절 질환 중 하나로 보통 50대부터 시작됩니다.

 

퇴행성 관정염은 뼈의 말단을 둘러싸고 있는 연골 조직이 점차 마모되면서 관절 내 염증과 심한 통증을 일으키고 연골 내 뼈가 비정상적으로 딱딱해지는 현상이 나타나서 점차 보행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관절의 움직임으로 일어나는 마찰을 완충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게 연골인데 이 연골이 닳아 없어지게 되어 관절을 움직일 때 심한 통증과 운동장애가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퇴행성 관절염 초기에는 계단을 오를 때 무릎이 시큰거리고 뼈 아픈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렇게 점점 중기로 넘어가면 일어나거나 양반다리를 하는 등 자세를 바꿀 때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고 또 이유 없이 무릎이 붓기도 합니다. 증상이 오래돼서 연골 손상이 심해지면 무릎 통증의 빈도가 심해지고 연골이 다 닳아서 뼈와 뼈끼리 부딪히고 걸을 때마다 심한 통증이 동반되고 O다리로 모양이 변형되기도 합니다.

 

 

>>>인공관절 수술 없이 내 무릎 지키는 방법

 

 

연골연하증

관절염 외에도 젊은 층에서 무릎을 구부릴 때 통증이 발생한다면 무릎의 연골 연하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연골연하증은 슬개골 아래에 있는 연골이 약해져서 말랑말랑 해지다가 점점 소실되는 질환입니다. 슬개골은 무릎 앞에 동그랗게 튀어나온 연골로 무릎 앞 쪽으로 이어지는 허벅지 근육 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슬개골이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탄력성이 있어야 하는데 이 슬개골이 탄력을 잃으면서 단단해야 할 연골이 부드러워져서 무릎 관절에 부딪히면서 마찰이 일어나고 무릎에 압력이 높아져서 통증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연골연하증은 무릎 앞에 안쪽 부위에서 뻐근한 통증이 나타나고 연골이 약해지면서 슬개골과 대퇴골이 서로 부딪혀서 사각거리는 소리가 나기도 합니다. 대부분 안정을 취하고 있을 때는 거의 통증이 없고 무릎을 구부릴 때나 쪼그리고 앉아 있으면 통증이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걷게 되면 초기에는 통증이 완화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체중이 실리는 활동할 때도 통증이 더 심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연골 연화증 치료방법 

 

 

반월상 연골 파열

반월상 연골 파열에 의해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허벅지 뼈와 종아리 뼈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해주는 반달 모양의 물렁뼈를 반월상연골판이라고 합니다. 반원상 연골은 무릎 내에서 쿠션 역할을 해주고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에 가해지는 힘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무릎에 지속적인 안정성을 부여해 주며 바깥쪽 테두리에서 혈액을 공급받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반월상 연골에 너무 많은 충격이 가해지거나 충격 흡수 기능의 손상을 받게 될 경우에는 이 연골이 파열이 일어나게 됩니다.

무릎에 반월상 연골 파열의 경우에는 초기 진단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수술 시기를 놓쳐 관절염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주기적으로 무릎이 붓고 구부릴 때 통증이 지속된다면 엑스레이에서 나오는 병변이 아니니 MRI 검사를 통해 연골 파열의 위치와 진행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을 해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월상 연골 파열의 증상은 주로 무릎을 구부리고 펼 때 혹은 갑작스럽게 무릎 방향의 전환을 할 때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통증 때문에 무릎을 본인의 의지대로 펴거나 굽히기가 어렵게 됩니다. 무릎이 퉁퉁 붓고 걸을 때마다 뚝 소리가 나면서 정상적인 보행에도 지장을 줍니다.

 

 

>>>반원상연골파열 체크하기

 

 

만약 무릎을 구부릴 때 통증이 있고 앞서 설명한 세 가지 질환이 의심된다면 빨리 병원에 내원하여 치료받으셔야 합니다. 특히 반월상 연골판의 경우 한번 손상이 되면 재생이 어렵고 오래 방치할 경우에는 범위가 점점 넓어져서 증세가 악화되고 관절염으로까지 진행을 하기 때문에 늦으시면 안 됩니다. 손상의 정도가 심하지 않고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한다면 90% 이상의 환자에게 수술 없이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으로 충분히 호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반월상연골파열

 

 

 

100세 시대에 모든 기관이 건강해야 하겠지만 무릎 건강 못지않게 중요합니다. 자가진단해 보시고 1시간 이상 걸을 수 없다거나 움직일 때 소리가 난다 거나 계단을 오르내리기가 힘들다면 무릎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전문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