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결여발작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결여발작 또는 결신발작, 결석발작이라고도 부르는데 영어로는 Absence seizure라고 정의합니다. Absence가 결석, 부재 등의 뜻을 가지고 있어서 여러 해석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결여발작의 원인과 증상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결여발작 원인과 증상
결여발작은 주로 어린이들에게 나타나는 발작의 한 유형입니다. 보통 몇 초 정도 잛은 시간동안 의식을 상실합니다. 멍하니 허공을 응시하거나 약간의 경련을 일으키는 것처럼 행동합니다. 갑작스러운 응시와 더불어 입술부분 발작, 눈꺼풀 펄럭임, 씹는 동작을 하고 손가락을 문지르거나 양손의 작은 움직임 등이 나타납니다. 이런 증상이 일어남에도 본인은 자신의 증상을 알아 차리지 못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것은 감각과 운동 신호를, 뇌에서 다른 부분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시상에서 비정상적인 전기 활동을 함으로 인해 생기는 현상입니다. 뇌의 신경 세포(뉴런)가 비정상적인 전기자극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기도 하며 유전적인 요인으로 보기도 합니다.
결여발작이 일어나는 연령은 4세에서 14세에 주로 나타나고 성인이 되면 이런 증상이 없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위험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응급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런 현상으로 인해 공부를 하거나 집중력을 요할 때 영향을 줄수 있기 때문에 부모님의 관심과 의사와의 상담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어떻게?
병원에 가면 보통 뇌전도와 뇌스캔을 통해 검사를 합니다. 뇌전도에서 정상패턴과 다른 EEG패턴이 나타난다면 정상과 다르게 볼수 있습니다. MRI를 통한 뇌스캔은 뇌의 상세한 이미지를 생성하므로 좀더 세밀하게 판단할수 있습니다.
이렇게 결여발작으로 인정되면 가장 낮은 항발작제를 복용하게 시작하여 발작을 제어하도록 조절하게 됩니다. 2년 정도 발작이 없으면 항발작제를 중단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심한 경우일 것이고 많은 아이들과 청소년들은 결여발작을 그 시기에 극복해 나갑니다. 모두의 경우가 그런것은 아니지만 말입니다. 무엇보다 발견하는 것이 중요한데 부모와 주위사람들의 관심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발견된다 하더라도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고 약물보다 자연스럽게 극복해 나가는 방법을 시도해 보는게 좋겠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정보
아데노바이러스 증상 치료 예방방법
아데노바이러스가 돌고 있습니다. 코로나가 전파속도가 주춤하면서 면역에 헤이해지고 있는것도 사실이며 새학기가 시작되어 많은 사람들이 밀집되어 생활하는 것도 아데노바이러스를 비로하
lliinn77.tistory.com
'라이프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내시경 전 음식 정리 (0) | 2023.04.21 |
---|---|
원숭이두창 엠폭스 감염경로 초기증상 (0) | 2023.04.21 |
공황장애 원인 증상 치료 극복 (0) | 2023.04.13 |
아데노바이러스 증상 치료 예방방법 (0) | 2023.04.11 |
원숭이두창 엠폭스 증상 원인 치사율 치료 (0) | 2023.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