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정부가 청년을 위한 공약들을 내놓는 가운데 문재인 정부에 이어 윤석열 정부도 이름과 혜택 범위를 넓혀 청년도약계좌를 6월에 출시합니다. 청년들의 중장년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제도입니다. 원래는 10년 만기 최대 1억 원의 목돈 마련이 목적이었지만 실제 정부 출범 이후 5년에 5천만 원으로 축소가 되었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출연했기 때문에 안전성에서도 믿을만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누가 받을수 있는지 조건이 궁금하실 텐데요. 가입 대상은 2023년 기준 만 19세에서 34세 이하입니다. 다만 병역이행을 한 경우에는 병역 이행 기간으로 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된다는 거 남성분들은 기억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 개인 소득이 6천만원 이하,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를 충족하는 청년입니다.
얼마까지 받을수 있어요?
납입한도는 최대 70만 원이고 5년에 의무 가입 기간이 있습니다. 여기에 정부 기여금과 은행 이자를 모두 합쳐서 만기 시 최대 5천만 원까지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월 납입금액이 낮으면 3%의 기여금을, 높으면 6%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70만 원 곱하기 12개월에 곱하기 5년이면 4,200만 원 정도가 되는데 여기에 정부의 기여금과 이자 소득에 대해서 대략 800만 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겁니다. 금리는 아직 확정이 아니지만 지난 문재인 정부를 참고한다면 5~6%가 될 거라는 추정이 많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장점
청년희망적금과 비교하여 소득 기준이 완화 되었습니다. 돈을 더 많이 벌어도 가입할 수 있고 저축 금액이 70만 원까지 가능하니까 한도가 늘었다는 이점도 있습니다. 더불어 지원금의 비율도 6%까지 높아졌습니다. 또 만기가 2년에서 5년으로 늘었고 이자소득 전액이 비과세, 자유적립식 상품이라는 것이 장점입니다.
청년들이 수월하게 목돈을 마련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는 것이 청년도약계좌의 설립 취지를 지향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단점은 없나요?
단점이라면 5년이라는 기간이 길게도 느껴질수 있다는 것입니다. 만기 2년 9%의 금리 효과를 누렸던 청년 희망 적금도 중도해지율이 7개월 만에 30만 명을 넘겼다는 것을 보면 독립하고 돈 쓸 곳이 많은 청년들에게 오랜 기간 일정 금액을 묶어 야 한다는 것이 단점일 수도 있겠습니다.
이런 점을 생각하고 청년도약계좌를 시작하시려는 분들은 맘을 단단히 먹고 시작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생각보다 5년이 길 수도 있지만 열매를 생각한다면 짧을 수도 있으니 생각하기 나름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의 중복 가입이 가능한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신것 같습니다.
우선 희망적금은 2024년 2,3월 경에 2년 만기가 종료되어 추가 가입이 안된다고 합니다. 약정된 장려금을 지급하면서 사업을 종료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했던 분들이 청년도약계좌에도 관심이 많은데 확실하게 가입 가능여부에 대해서는 6월에 더 구체적인 사항이 나온다고 하니 그때 확인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라이프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가볼만한 현풍 유가 논공 카페 플록 (0) | 2023.03.27 |
---|---|
어린이날 선물 추천 BEST3 (1) | 2023.03.26 |
패딩 세탁 방법 세탁소에서 배워왔어요 (0) | 2023.03.06 |
위니아 딤채 김치냉장고 보상판매 리콜모델 (0) | 2023.02.28 |
도루코 후라이팬 내돈내산 찐후기 (1) | 2023.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