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생활정보

신화당 뉴슈가 사카린 제대로 알기

by 월억벌자 2020. 11. 12.
반응형

가까운 지인이 농사지으신 무를 한 박스나 주셨어요

뭘 할까 하다가 무로 만들 수 있는 건 다 만들면서 신화당을 알게 되었어요

집에서 만드는 무김치와 설렁탕 집의 무김치의 맛은 왜 차이가 나는가 했더니 신화당을 넣어서 그렇다고들 하시네요

동치미를 하는데도 신화당을 넣어야 맛있다고 하고 섞박지를 만드는데도 뉴슈가를 넣어야 한다고 하는데 도대체 이것들의 정체는 뭣인지...

단맛을 내기 위해 설탕을 넣으면 국물이 걸쭉해지기 때문에 설탕 대신 뉴슈가나 신화당을 조금만 넣어 맛을 내면 걸쭉해 지지도 않고 맛나다고...

그래서 신화당 뉴슈가 사카린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사카린<<<

신화당과 사카린을 말하기 전에 사카린을 알아야 해요

인공감미료인 사카린은 설탕의 200~700배 맛을 냅니다

사카린은 발암물질로 오인 받았으나 WHO 그리고 전 세계의 식품기관들로부터 인체에 무해하다고 결론이 났죠

일단 억울한 누명은 벗었습니다

설탕으로 낼수 없는, 우리 입맛이 좋아하는 단맛을 내는 감미료로 치킨무, 깍두기, 물김치 등에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뉴슈가와 신화당입니다

신화당과 뉴슈가가 같은 것으로 오해 하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뉴슈가와 신화당<<<

뉴슈가는 작은 입자의 모양을 갖고 신화당은 고운 가루로 되어 있습니다

사카린이 주 성분이지만 함량의 차이에서 뉴슈가와 신화당의 단맛이 결정납니다

뉴슈가는 포도당 95%와 사카린 5%로 이루어져 있고 신화당은 포도당 70%와 사카린 30%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카린의 함량이 높은 신화당이 더 단맛이 강하다는 결론입니다

 

 

보통은 무김치 종류를 담을 때 많이 이용하고 감자나 옥수수를 삶을 때 신화당을 넣습니다

이런 감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맛을 내기도 어렵지만 감미료의 맛에 익숙해진 입맛을 다른 것으로 잡기 힘들다는 게 서글프네요

어쨌든 많이 먹는 것은 아니니 저는 맛을 택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댓글